동지

홈 > 국악놀이 > 우리음악창의교육
우리음악창의교육

동지

04

동지

 

•   : 우리나라 명절

•  소주 : 동지

•  대상연령 : 만 4세 ~ 만 5세

 

 

활동목표

  • 동지의 유래에 대해 알아보고 그 의미를 생각한다.
  • 동지의 풍습에 대해 알아보고 달력 선물하기를 한다.
  • 동짓날 팥죽의 유래에 대해 알아보고 팥죽을 만들어 먹는다.
  • 「동지팥죽」을 다양한 방법으로 부르고, 동지팥죽 놀이를 즐긴다.

 

활동자료

MP3
노래MP3 「동지팥죽」
영상
시연영상 「동지팥죽」 짝꿍 신체표현, 소고율동, 동지팥죽 놀이
수업자료
PT 그림 사진 동지  노랫말지·악보 「동지팥죽」  활동지+ 우리나라 명절 동지
준비물
소고, 소고채, 팥죽 만들기(팥, 찹쌀가루, 소금 등),달력 만들기 재료(색연필 등)

 

활동방법

이야기나누기 동지에 대한 주제망을 구성하고 유래에 대해 알아본다.  만 4, 5세

○ 달력을 보며 올해의 동지를 알아본다.

- 동지라는 명절에 대해 듣거나 경험한 것이 있나요?

- 동지는 언제일까요?

- 달력에서 올해의 동지가 언제인지 찾아볼까요.

 

○ 동지에 대한 생각을 모으고 유목화한다.

- 동지에 대해 알고 있는 것들은 무엇인가요? 동지에 대해 알고 싶은 것들은 무엇인가요?

생각 모으기에서 나온 단어들을 관련 있는 것들끼리 묶는다.

 

○ 주제망을 구성한다.
동지

 

○ 동지의 날짜와 유래를 알아본다.

- 겨울과 여름에 밤의 길이가 다르다는 걸 알고 있나요?

- 봄여름가을겨울 중 빨리 캄캄해지는 때는 어느 때인가요?

- 동지는 ‘일 년 중 밤이 가장 긴 날’이에요. 제일 빨리 캄캄해지는 날인 거예요. 그러니까 ‘일 년 중 낮이 제일 짧은 날’이겠죠.

- 이 날을 우리 조상들은 특별한 날로 삼고 여러 가지 행사도 하고 음식도 만들어 먹었어요.

- 동지는 ‘작은설’이라고도 불려요. 아주 오랜 옛날에 중국의 주나라는 동지를 설날로 삼았다고 해요. 그런 풍습이 전해져서 음력 1월 1일을 설날, 동짓날을 작은설로 부르는 거예요.

귀띔 동지(冬至) 겨울에는 여름에 일찍 어두워지고 늦게 해가 뜬다. 이렇듯 일 년 동안 밤과 낮의 길이가 매일 다른데, 일 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 동지다. 밤이 가장 긴 날이기 때문에 나쁜 기운이 넘치는 날이라 생각해서 팥죽을 끓여 먹는 등 나쁜 기운을 물리치는 의식을 행했다.
작은설 동지를 작은설이라고도 한다. 이는 동지가 지나면서 해가 점차 길어지기 때문에 동지를 한 해가 시작하는 날로 생각한 것이다. 중국의 주나라 때는 동지를 설날로 삼았다. 이런 풍습이 남아서 ‘동지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는 속담 등이 전해지는 것이다. 하지만 요즘에 이르러서는 동지를 ‘작은설’로 삼는 의식은 거의 사라졌다.

 

○ 우리나라의 특별한 날에 대해 알아본다.

- 동지는 양력일까요, 음력일까요?

- 단오, 추석, 설날, 정월대보름 등은 달을 기준으로 특별한 날을 정했어요.

- 하지만 동지는 해가 가장 짧은 날, 즉 해를 기준으로 특별한 날을 정했어요.

- 우리 조상은 음력을 기준으로 중요한 명절을 정했고 또 양력을 기준으로 일 년을 스물 네 개로 나눠서 특별한 날을 정했어요. 이것을 ‘24절기’라고 해요. 우리민족은 과학적으로 음력과 양력을 같이 사용했던 거예요.

 

귀띔

동지는 음력일까, 양력일까? 동지는 태양이 적도이남 23.5도의 동지선(남회귀선) 곧 황경(黃經) 270도의 위치에 있을 때이다. 즉 양력이다. 12월 22, 23일 무렵에 든다.

24절기 시계나 달력이 흔하지 않았던 옛날에 주기적으로 커졌다 작아졌다를 반복하는 달을 기준으로 날을 헤아리는 것이 무척 편한 방법이었다. 때문에 우리 조상들은 음력을 사용했다. 하지만 음력은 농작물을 키우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계절과 날짜가 일정하게 조응하기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태양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나눈 24절기를 도입해 농사를 지었던 것이다. 이 24절기의 기준이 되는 것이 바로 동지이다.

 

 

미술 동지의 풍습에 대해 알아보고, 달력을 만들어 선물한다.  만 5세

○ 동지의 풍습에 대해 알아본다.
동지

 

- 팥죽은 무슨 색깔이죠?

- 옛날에 빨간색은 귀신을 쫓아내는 색이라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빨간색의 팥죽을 동짓날 집안 곳곳에 차려놓으면 귀신을 쫓아내서 다가오는 새해에 좋은 일만 생긴다고 믿었어요. 이렇게 팥죽을 차려놓는 것을 팥죽고사라고 해요.

- 동짓날에는 며느리가 집안의 어른들한테 버선을 지어서 선물했어요. 건강하고 오래오래 사시라는 의미예요.

- 동짓날에 다음해 달력을 만들어 선물을 했어요. 곧 새해가 다가오기 때문이죠.

귀띔 동지고사(팥죽고사) 동짓날 팥죽을 쒀서 조상에게 바치고, 대문, 마당, 부엌 등 집안 곳곳에 팥죽 그릇을 놓아둔 후 식으면 먹는다. 예로부터 붉은 색은 나쁜 기운을 물리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붉은 팥으로 만든 팥죽은 집안의 나쁜 귀신을 쫓아준다 믿었다. 동지는 밤이 가장 긴 날이어서 나쁜 기운이 왕성해지기 때문에 악귀를 물리치기 위해 팥죽을 만들어 먹게 되었다. 벽사의 의미를 담고 있다.
버선 선물하기 며느리가 시댁 어른들한테 버선, 옷, 신발 등을 지어서 선물하는 풍습이다. 동지 때부터 점차 해가 길어지기 때문에 새 버선을 신고 길어지는 그림자를 밟고 살면 수명이 길어진다고 믿었다.
달력 선물하기 동짓날에 다음해 달력을 선물하는 풍습으로 요즘에도 연말이 되면 달력을 선물하는 풍습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 달력을 만들어 선물한다.

요리 동지의 특별한 음식인 팥죽에 대해 알아보고, 팥죽 요리를 한다.만 4, 5세

○ 동짓날의 특별한 음식에 대해 알아본다.
동지

 

- 동짓날의 특별한 음식은 팥죽이에요.

- 어떤 해에는 팥죽대신 팥시루떡을 만들어 먹어요. 이런 동지를 ‘애동지’라고 해요. 팥죽과 팥시루떡은 똑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어요.- 함경도나 평안도 같은 북쪽에서는 동짓날 냉면을 먹기도 해요.

귀띔 동지팥죽 팥죽을 먹을 땐 찹쌀로 만든 새알심을 먹는데, 먹는 사람의 나이 수만큼씩 죽 그릇에 넣어 먹는다. 그러면 병에 걸리지 않고 오래 산다고 믿었다.

애동지 동지가 음력으로 초순에 들면 애동지, 중순에 들면 중동지, 그믐 무렵에 들면 노동지라 한다. 애동지에는 팥죽을 쒀 먹지 않고 팥시루떡을 해 먹는다.

 

○ 새알심을 만들어 팥죽을 쒀 먹는다.

- 팥죽을 만들 때는 어떤 재료들이 사용 될까요?

동지

 

새알심을 만든다.

동지

 

팥죽을 쒀 먹는다.

동지

 

음악 「동지팥죽」 노래놀이 활동을 한다.만 4, 5세

○ 노래를 탐색한 후, 노래 부른다.

 

○ 신체악기를 연주하며 노래를 부른다.

신체악기 연주는 이후에 하는 율동과 놀이의 기본이 된다. 다음은 신체악기 연주의 예시다.

동지

 

○ 동지팥죽 짝꿍 신체표현 활동을 한다.

노랫말에 맞는 신체표현을 만든다.

 

○ 동지팥죽 놀이를 한다.

- 두 개의 원을 만들어 선다.

- ‘동지팥죽 먹고 나이 한 살 더 먹자’ 부분에선 마주한 짝꿍과 박자치기를 한다.

동지

- 나머지 소절에선 안쪽 원의 사람들은 빙글 돌면서 오른쪽으로 이동을 한다. 돌 때 양팔을 둥그렇게 만들어 팥죽 그릇을 표현한다.

- 바깥 원 사람들은 제자리에서 돈다.

동지

- 새로 짝이 지어진다. 노래에 맞춰 반복한다.

동지

 

영상 동지팥죽놀이 시연

『우리음악 창의교육 USB Book』 참조

 

 

음악 「동지팥죽」 소고율동을 한다.만 4, 5세

○ 소고율동을 한다.

신체악기 연주는 이후에 하는 율동과 놀이의 기본이 된다. 다음은 신체악기 연주의 예시다.

 

○ 활동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정리한다.

- 동지가 어떤 날인지 알게 되었나요?

- 왜 「동지팥죽」 노래에서 ‘동지팥죽 먹고 나이 한 살 더 먹자’고 했을까요?

 

 

활동설명

「동지팥죽」 악보
동지

 

Mp3 동지팥죽

『우리음악 창의교육 USB Book』 참조

 

「동지팥죽」 짝꿍 신체표현 예시
동지동지동지동지동지

 

영상 동지팥죽 짝꿍 신체표현 시연

『우리음악 창의교육 USB Book』 참조

 

「동지팥죽」 소고율동 예시
동지동지동지동지동지동지동지동지동지

 

영상 동지팥죽 소고율동 시연

『우리음악 창의교육 USB Book』 참조

 

 

0 Comments